10월, 2025의 게시물 표시

마크다운(Markdown) 작성 방법

이미지
  마크다운(Markdown) 작성 방법과 대표 예제를 정리하여 안내드립니다. 마크다운은 간단한 문법으로 문서를 구조화하고 읽기 쉽게 만드는 표준 텍스트 포맷입니다. 주로 README, 문서화, 블로그, 노트 등에 사용됩니다. 주의: 플랫폼마다 일부 문법이나 렌더링 방식이 다를 수 있습니다(GitHub, Notion, Obsidian 등). 기본 문법은 대부분 호환됩니다. 제목(Headings) 제목 1 제목 2 제목 3 제목 4 제목 5 제목 6 예: 프로젝트 개요 기능 설명 설치 방법 문단과 줄바꿈 빈 줄을 하나 추가하면 새로운 문단이 됩니다. 줄 끝에 두 칸 공백을 넣거나 태그를 사용하면 줄바꿈을 강제할 수 있습니다. 예: 첫 번째 문단입니다. 두 번째 문단입니다. 강조(굵게, 기울임, 취소선) 굵게:  텍스트  또는  텍스트 기울임:  텍스트  또는  텍스트 굵게+기울임:  텍스트 취소선:  텍스트 예: 중요  사항입니다.  참고  내용도 있습니다.  더 이상 사용하지 않음 목록(Lists) 순서 없는 목록: -, *, + 사용 순서 있는 목록: 숫자. 형식 예: 사과 바나나 포도 준비 설치 실행 하위 목록(들여쓰기 두 칸 또는 탭): 항목 A 하위 A1 하위 A1-1 링크와 이미지 링크:  링크 텍스트 이미지: 제목 툴팁:  텍스트 예: 공식 문서 코드(Code) 인라인 코드:  코드 코드 블록(언어 지정 가능): ```언어 예: 문장 중  printf() 를 사용합니다. python def add ( a, b ): return a + b bash # 설치 pip install package 인용문(Blockquote) 기호 사용. 중첩 가능. 예: 핵심 요약 세부 설명 수평선(Horizontal rule) --- 또는 *** 또는 ___ 예: 표(Table) | 컬럼1 | 컬럼2 | |--...

로컬 LLM이란? 내 PC에서 GPT를 사용할 수 있나?

  로컬 LLM이란? 로컬 LLM은 클라우드 서버가 아닌 개인 컴퓨터나 자체 서버에서 직접 실행되는 대규모 언어 모델을 의미합니다. ChatGPT나 Claude와 같은 클라우드 기반 AI와 달리, 인터넷 연결 없이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주요 특징 1.  프라이버시 보호 모든 데이터가 로컬에서 처리되어 외부로 전송되지 않습니다 민감한 정보나 기업 기밀을 안전하게 다룰 수 있습니다 2.  오프라인 사용 가능 인터넷 연결 없이도 작동합니다 네트워크 제한이 있는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합니다 3.  커스터마이징 가능 특정 목적에 맞게 파인튜닝할 수 있습니다 원하는 방식으로 모델을 수정하고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로컬 LLM 오픈소스 모델 LLaMA (Meta) : 다양한 크기로 제공되는 강력한 모델 Mistral : 효율적이고 가벼운 프랑스산 모델 Gemma (Google) : 구글에서 공개한 경량 모델 Qwen : 알리바바에서 개발한 다국어 지원 모델 실행 도구 Ollama : 가장 간편한 로컬 LLM 실행 도구 LM Studio : GUI 기반의 사용하기 쉬운 도구 GPT4All : 다양한 모델을 지원하는 플랫폼 LocalAI : API 서버 형태로 제공되는 도구 필요한 시스템 사양 최소 사양 RAM: 8GB 이상 (작은 모델 기준) 저장공간: 10-50GB CPU: 최신 멀티코어 프로세서 권장 사양 RAM: 16-32GB 이상 GPU: VRAM 8GB 이상의 NVIDIA GPU 저장공간: 100GB 이상 (여러 모델 사용 시) 장단점 장점 완전한 데이터 프라이버시 인터넷 연결 불필요 사용량 제한 없음 커스터마이징 가능 단점 고사양 하드웨어 필요 클라우드 모델 대비 낮은 성능 직접 설치 및 관리 필요 업데이트를 수동으로 해야 함 활용 분야 기업 : 내부 문서 분석, 보안이 중요한 업무 연구 : 특정 분야에 특화된 모델 개발 개인 : 프라이버시를 중시하는 개인 사용자 개발 : 오프라인 환경에서의 AI 애플리케이션 개발

엑셀 피벗 테이블이란?

  피벗 테이블이란? 피벗 테이블은 대량의 데이터를 요약하고 분석하는 강력한 기능입니다. 데이터를 다양한 각도에서 빠르게 정리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피벗 테이블 만들기 1. 데이터 준비 분석할 데이터가 표 형식으로 정리되어 있어야 합니다 각 열에는 제목이 있어야 합니다 빈 행이나 열이 없도록 확인해 주세요 2. 피벗 테이블 삽입 분석할 데이터 범위를 선택합니다 삽입  탭 →  피벗 테이블 을 클릭합니다 새 워크시트 또는 기존 워크시트 위치를 선택합니다 확인 을 클릭합니다 피벗 테이블 구성하기 필드 배치 오른쪽에 나타나는  피벗 테이블 필드  창에서: 행 : 행으로 표시할 항목을 드래그합니다 열 : 열로 표시할 항목을 드래그합니다 값 : 집계할 숫자 데이터를 드래그합니다 필터 : 전체 데이터를 필터링할 항목을 드래그합니다 주요 기능 값 집계 방식 변경 값 영역의 필드를 클릭 → 값 필드 설정 합계, 평균, 개수, 최대값, 최소값 등 선택 가능 데이터 정렬 행 또는 열 레이블 클릭 → 정렬 옵션 선택 필터링 각 필드의 드롭다운 화살표를 클릭하여 필터 적용 그룹화 날짜나 숫자 데이터를 선택 → 마우스 오른쪽 클릭 → 그룹화 유용한 팁 새로 고침 : 원본 데이터가 변경되면 피벗 테이블을 마우스 오른쪽 클릭 → 새로 고침 디자인 변경 : 피벗 테이블 도구 → 디자인 탭에서 스타일 변경 가능 슬라이서 추가 : 삽입 → 슬라이서로 시각적 필터 추가

초보자를 위한 주식차트 기본과 해석법

  단기 트레이딩에만 국한하지 않고, 중장기 투자에도 적용 가능한 관점으로 설명드립니다. 차트의 기본 구성 이해 캔들(봉): 한 기간(일/주/월/분)의 시가, 고가, 저가, 종가를 나타냅니다. 양봉(종가 > 시가)은 상승, 음봉(종가 < 시가)은 하락을 의미합니다. 그림자가 길면 해당 구간에서 변동성이 컸음을 의미합니다. 시간축/가격축: 가로축은 시간, 세로축은 가격입니다. 일봉은 하루 하나의 캔들, 주봉은 일주일 하나의 캔들을 의미합니다. 거래량(Volume): 특정 기간에 얼마나 많이 거래되었는지를 보여줍니다. 가격 움직임이 거래량 증가와 함께 나타나면 신뢰도가 높아집니다. 지표(Indicators): 이동평균선, RSI, MACD 등 보조지표로 추세·모멘텀·과매수/과매도 상태를 판단합니다. 가장 기초적인 추세 파악법 고점과 저점의 패턴: 고점·저점이 계속 높아지면 상승 추세, 낮아지면 하락 추세, 횡보면 박스권입니다. 추세선/채널: 저점들을 이은 선(상승 추세선), 고점들을 이은 선(하락 추세선)을 그려 지지·저항을 시각화합니다. 채널 상·하단에서 반등/돌파 여부를 확인합니다. 이동평균선(MA): 20일, 60일, 120일이 많이 쓰입니다. 가격이 장기선(120일) 위에 있고 단기선이 장기선을 상향 돌파하면 추세 개선 신호로 봅니다. 이동평균선이 수렴 후 벌어지면(확장) 추세가 강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지·저항과 매물대 지지(Support): 과거에 반등했던 가격대. 하락 시 이 구간에서 매수세가 유입되기 쉽습니다. 저항(Resistance): 과거에 막혔던 가격대. 상승 시 이 구간에서 매도·이익실현이 나오기 쉽습니다. 거래량 프로파일/매물대: 특정 가격대에서 거래가 많이 누적된 곳은 강한 지지·저항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돌파 시 거래량이 동반되면 신뢰도가 높습니다. 핵심 보조지표 해석 RSI(상대강도지수): 70 이상 과매수, 30 이하 과매도 경향. 절대 규칙은 아니며, 강한 상승장에서 RSI가 70 이상을 오래 유지할 수 ...

스프링부트 소켓서버 만들기 예제

  1) WebSocket 서버 예제 (Spring Boot + STOMP) 웹소켓을 직접 다루기보다, 메시지 라우팅이 편리한 STOMP 프로토콜을 함께 쓰면 채팅 등 브로드캐스트 구조를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설정 Spring Initializr로 생성 Dependencies: Spring Web, WebSocket, Lombok(선택), Spring Boot DevTools(선택) Gradle 기준 build.gradle 예시: gradle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socket' implementation 'org.projectlombok:lombok'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 WebSocket/STOMP 설정 클래스 java // WebSocketConfig.java package com.example.websocketdemo.config;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figur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messaging.simp.config.MessageBrokerRegistry; import org.springframework.web.socket.config.annotation.*; @Configuration @EnableWebSocketMessageBroker public class WebSocketCon...